프로그래밍/Android

[Android] 무선으로 ADB 사용하기

여름숲_ 2017. 10. 23. 11:37

개발을 하다 보면 특정 상황에서는 유선 디버깅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는데요.

이번 제 프로젝트가 그랬습니다. 단말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통신을 해야했기 때문에 컴퓨터와 연결을 할 수가 없어,

디버깅모드는 커녕 로그조차 볼 수가 없어 너무나도 답답하고 새삼 디버깅모드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었습니다.

어떻게든 진행은 해야되니, 이걸 매번 Toast로 찍어서 봐야하나, 로그를 파일로 저장해서 봐야하나 고민하던 차에 두가지 방법 모두 한계가 있다는 생각에 검색해보니, Wi-fi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ADB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,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




무선 ADB 사용하기

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, 무선으로 ADB를 사용하기 위해서 Wi-fi를 사용한다고 했습니다. 그렇다면 당연히 같은 Wi-fi를 사용해야 되겠군요.

단말기와 컴퓨터를 모두 같은 Wi-fi에 연결해 주세요.


Wi-fi에 연결을 하셨다면, 늘 해왔던대로,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해 줍니다.

연결을 하셨다면, 터미널창을 하나 띄워봅시다. ADB가 있는 폴더로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.

저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아래쪽에 Terminal 창을 열었습니다.

그럼 아래와 같이 입력해 주세요.


>adb tcpip <연결할 포트번호>



제가 사용했던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

>adb tcpip 9998

(성공 시 메시지)

>restarting in TCP mode port: 9998


자 이렇게 성공적으로 메시지가 출력 되었다면, 이제 연결을 위한 설정은 모두 끝났습니다. 이제 선을 제거하셔도 됩니다. Bye~ Bye~

그럼 이어서, 이제 무선으로 연결을 시도해 보겠습니다.


열어두셨던 터미널 창에 이번엔 이렇게 입력해보겠습니다.


>adb connect <Wi-fi IP주소>:<포트번호>


이번에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.


>adb connect 192.168.0.73:9998

(성공 시 메시지)

>connected to 192.168.0.73:9998


자 연결도 끝났습니다.

이제 프로젝트를 실행시켜 무선으로 돌려 확인해보면 되겠습니다.

수고하셨습니다.


참고로, Wi-fi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연결이 끊어 질 수 있으니, 연결만 다시 해주시면 됩니다.

또, 단말기의 전원을 리부팅 하게 되면 연결 설정 또한 초기화 되므로, 처음부터 다시 설정하셔야 합니다.


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.




이 방법으로 복잡했던 책상에 선을 아예 두지 않고 쓰시면서 깔끔한 책상을 유지하시는 분도 계시다고 하네요

여러가지 방법으로 응용해서 쓰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.

혹시 진행이 제대로 되지 않으시거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